projects/public8
용현2동 행정복지센터
주민들이 함께 어우러지는 행정복지센터는 주민 일상에 부족한 문화, 여가, 복지 등을 지원하고 증진시켜 일상에 활력을 주는 마을의 매개공간이 될 것이다. 용현2동 행정복지센터는 다양한 공간 안에서 주민들이 참여하고 자연과 어우러져 주민들의 일상을 확장시킬 수 있는 공간을 꿈꾼다. Type : Community Facility Client : Yonghyun2dong, Michuholgu, Incheon, Korea Size : 2,496.32 m2 Period : 2018 Status : Completed
Read more
화성 동탄 청소년 문화의 집
초기 계획안은 주차장과 녹지로 구성된 대지에서 녹지의 훼손을 최소화하고 판의 변형과 이동을 통해 지상의 녹지가 건물로 이어지는 개념을 적용하였다. 매스를 관리공간, 정적공간, 동적공간의 세 개의 판으로 구성하여 주변 환경에 맞게 판을 연장하고 밀어 넣고 비트는 작업을 한다. 이를 통해 생성된 외부공간은 대지와 건물이 하나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건축적 장치이며, 중정은 내외부를 이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비록 공모 당시 3개 층이던 건물이 4개 층으로 변경되면서 사업의 방향은 새롭게 전개되었고, 기능적인 공간 요구에 디자인이 많이 변경되었지만, 우리의 건축이 자연과 건축, 청소년과 주민, 공간과 공간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길 바란다. Type : Teenagers Training Facilities Cl..
Read more
송도4동 행정복지센터
송도 4동 행정복지센터 건립부지는 송도국제도시 국제업무단지 내 근린생활시설에 위치한다. 넓게는 '국제주거단지'와 '수변상업단지' 등을 이어주고, 좁게는 국제업무단지 내 공동주택과 근린생활시설을 이어주는 '소통의 거점'의 장소성을 가진다. 더불어 부지에 인접하여 '경관녹지(수로)'가 남서축에서 북동측으로 이어지고, 이는 수변녹지까지 연결되어 '녹지축'이 형성되도록 했으며, 복지행정·주민편익·여가문화와 더 나아가 지역커뮤니티·환경친화적인 '행정복지센터'로서의 장소성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Type : Community Facility Client : Yeonsu-gu Location : Songdo4dong, Yeonsugu, Incheon, Korea Size : 4,594.62 m2 Period : 201..
Read more
구리시 청소년 문화의 집
Type : Teenagers Training Facilities Client : Guri City Location : Topyeongdong, Gurisi, Kyeonggido, Korea Size : 3,541.45 m2 Period : 2020 Status : Competition_Participation
Read more
주례 열린 도서관
Type : Library, Community Facility, etc Location : Jurye-dong, Sasang-gu, Busan, Republic of Korea Size : 3,205 m2 Status : Competition_3rd Prize
Read more
옥수동 공공복합청사
Type : Community Facility Client : Seongdong-gu Location : Oksudong, Seongdong-gu, Seoul, Korea Size : 2,742.45 m2 Period : 2018 Status : Competition_Participation
Read more
부산복합혁신센터
Type : Community, Office, Child Facility Client : Busan Location : Dongsamdong, Youngdo-gu, Busan, Korea Size : 4,850.55 m2 Period : 2019 Status : Competition_2nd
Read more
MUTAL ESTEEM
우리의 대안은 도서관의 영역성을 강조하기보다 정보와 반응하는 공원이고자 한다. 이는 이미 이 지역의 대부분 공간이 주거단지, 대형시설 그리고 공공시설등에 의해 큰 경계들로 채워져 있기 때문이다. 우리의 제안은 채워진 매스보다 비워내는 공간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기존의 open space와 공원의 기능을 존중하고 이와 반응하는 공공도서관을 제안한다. 상대적으로 부족한 이 지역의 openspace의 범위와 밀도는 지역의 문화, 소통의 활동을 저해하는 원인이 된다. 주어진 대지의 publice open space에 닫혀진 공공시설이 아닌 열려진 공공공간을 제안하고 다양한 활동을 유발 할 수 있는 문화 도서관을 만들고자 한다. 우리가 제안하는 open plan은 다변화 하는 커뮤니티 공간으로 변화하는 도서관의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