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공고] 신입 및 경력사원
HB건축과 함께 할 가족을 찾습니다. HB건축사사무소는 소규모 건축에서부터 공공건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건축과 일상이 모두 즐거운 회사를 함께 만들어 갈 새로운 가족을 기다립니다. 많은 지원 부탁드립니다. ■ 모집부문 - 건축설계 신입 및 경력(3~10년) - 정규직 0명(수습기간 3개월 후 정규직 전환 / 급여는 정규직과 동일) ■ 응시자격 - 신입사원 : 건축관련학과(4년제 이상) 졸업자 또는 졸업예정자 - 경력사원 : 3~10년차 경력직 (민간공사 실시설계 및 관급공사 행정업무 유경험자 우대) - 밝고 긍정적이며 이타심이 많은 분을 격하게 우대 ■ 근무조건 - 월~금 / 9시~18시 근무 - 연봉은 면접시 협상 - 4대보험 및 퇴직연금 - 법정 연차휴가 지급 - 야근,..
Read more
2021. 11. 2.
[우수상] 원주 어린이(가족) 체험형 복합 미술관 건립 설계공모
HB건축사사무소와 건축사사무소 놈이 함께 참여한 원주 어린이(가족) 체험형 복합 미술관 건립 설계공모에서 우수상(2등)을 입상하였습니다. 대지 높이차를 활용한 공간구성과 기존 공원시설 및 수변공간과 연계되는 시민의 예술 생활 및 여가 선용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공간이 되도록 고민한 프로젝트입니다.
Read more
2021. 11. 2.
[건축문화] 모나무르 게재
HB건축에서 설계한 '모나무르'가 건축문화 vol.485(2021년 10월호)에 소개되었습니다.
Read more
2021. 11. 2.
[당선] 부산교육역사체험관 리모델링 설계공모
부산광역시 교육청에서 인재 양성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기관(센터)을 설립하고자 제안한 부산교육역사체험관 리모델링 건축 설계공모에 HB건축사사무소가 당선되었습니다. 대상지인 (구)감정초등학교는 학생 감소로 폐교된 곳으로, 인근의 감천문화마을 등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특색 있는 서부산권 생활문화 앵커시설을 계획하였습니다.
Read more
2021. 11. 2.
[우수상] 부산예술학교 기숙사 증축 및 리모델링 설계공모
(가칭)부산예술학교 기숙사 증축 및 리모델링(교사동, 강당) 건축설계 공모에서 HB건축이 우수상을 입상하였습니다. 비록 당선안은 아니지만, 학생들이 예술분야 맞춤형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교육시설이자 (구)일광초등학교의 폐교 활용으로 지역사회와 동반 성장하는 복합예술 문화공간으로써 작동하는 공간을 만들고자 고민한 프로젝트입니다.
Read more
2021. 11. 2.
[복합문화공간] 모나무르
한 시골 소녀의 꿈으로부터 시작된 프로젝트. 언젠가 자신의 고향으로 돌아가 사람들에게 희망과 행복을 주는 문화예술 공간을 만들고 싶다는 소녀의 꿈은 40여년의 시간이 흘러 남편의 도움으로 현실이 된다. 'Mon Amour'는 불어로 ‘내 사랑’이라는 의미로 미술가인 아내와 음악을 전공한 두 딸을 위해 한 가장이 마련한 선물 같은 공간이다. 15,000㎡ 가량의 평평한 대지에 갤러리와 공연/예식을 위한 콤플렉스 공간, 레스토랑, 카페 등으로 조성되었다. Type : Cultural Space Client : Monamour Location : Jangjondong, Asansi, Chungcheongnamdo, Korea Size : 2,230.54 m2 Period : 2019 Status : Compl..
Read more
2021. 11. 2.
TIRA 사옥
70~80년대부터 있던 오래된 구옥들 사이로 새로이 리모델링하거나 신축한 건물들이 곳곳에 자리한 동네. 사이트는 조용한 기존 주택들이 있는 주거지역에 소규모 회사들이 들어오면서 각기 나름 데로의 폼을 재며 새것과 옛것이 공존하고 있는 그런 곳이었다. 그로 인해 동네는 혼재된 듯 조화롭고 동적인 듯 정적인 특이한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었다. 우리는 이 동네에 동화 되지만 제 나름의 존재감을 가진 건축물을 만들고 싶었고, 공중에 부양된 박스형 건축물을 제안하였다. 대지로 통하는 주 도로에서 보면 이 건축물은 주변 건축물들의 배경이 된다. 드러내기보다는 주변에 묻어나며 동화되고 싶은 의도가 들어갔기 때문이다. 그렇게 길을 따라 건축물의 주출입구에 다다르면 공중 부양된 매스를 통해 나름의 존재감을 드러낸다. 띄워..
Read more
2021. 11. 2.
[양주 단독주택] 우주(宇宙)
우주는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 · 공간 · 시간을 포괄하는 광범위한 단어이다. 한 가족의 물질과 시간, 그리고 공간이 담겨지는 집이라는 존재는 또 다른 하나의 작은 우주와도 같지 않을까? 우주라는 단어의 한자어가 宇(집우) 宙(집주)로 구성된다는 점은 우리의 생각에 더욱 의미를 부여해 준다. 우리는 13.4m X 13.4m의 정사각형의 작은 우주를 만들기로 하였고, 그 안에서 가족이라는 각각의 행성들이 다양하게 관계하고 그들의 시간들이 담겨지는 집이 되길 바랬다. 집은 그들만의 시공간이 담기는 작은 우주와도 같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우리가 그동안 생활해온 공간은 항상 벽이라는 물질로 구분 되어져 왔고 그로 인해 규정되고 한정된 공간속에 개인의 이야기가 담겨져 왔다. 개인의 시간은 닫혀진 정육면체(방..
Read more
2021. 11. 2.
[성수동 협소빌딩] 시스루 빌딩
성수동은 여러 개발호재들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이주해 넘어왔고, 그만큼 사업성에 기초한 새로운 건축 행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존 준공업지역의 모습이었던 도시는 각양각색의 건축들이 새로이 들어오면서 옛것과 새것이 혼재된 복잡한 이미지를 만들어 내고 있다. 우리를 찾아온 건축주 역시 본인의 거주와 최대의 임대수익을 동시에 요청했다. 건축물은 개인의 재산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도시환경을 조성하는 공적인 역할도 수행한다. 또한 어느 하나 양보할 수 없는 이 두가지 속성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는 대안을 찾는 것이 건축가의 소명이라고 생각한다. 우리에게는 이 두가지 속성을 적절히 이어줄 수 있는 장치가 필요했고, 건물을 덮는 스킨을 그 장치로 제안해싿. 우리가 제안하는 스킨은 완전히 열린것도 아니고 완전히 닫..
Read more
2021. 11. 2.
제주 돌담집
제주 돌담집은 건축이 자연에 대응하는 방식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한다. 지구의 중력으로 대지 위에 구축되어야 한다는 것은 건축이 가진 본질적인 운명이다. 대지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 건축의 필연적 운명과 기존의 자연(귤밭)이 인공적 자연(마당)으로 대체되는 것 또한 최소화하자라는 목표를 위해 우리가 선택한 아이디어는 플로팅 매스였다. 주 생활이 이루어지는 주거공간을 2층 레벨로 띄우고 1층의 공간을 마당으로 계획하였다. 이때, 인공적 자연(마당)은 기존의 자연과 건축을 이어주는 매개공간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는 인공이 들어서면서 생겨나는 자연과의 필연적 경계를 흐리게 만드는 역할을 하게 된다. 플로팅 매스의 효과는 시각적 자연(조망)을 주거내부로 자연스럽게 끌어들이는 다른 기회도 제공하여 집의 이용자는 ..
Read more
2021. 11. 2.
[우면동 단독주택] 세지붕 한가족
단독주택과 다가구주택의 차이는 가구별로 들어가는 현관문의 개수에 따른다. 한 가족이고 한 필지에 살아가지만 부모님과 두 딸은 세 가구처럼 독립적으로 살기를 원하였다. 이에 상반되게 대지는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있어 건축법 용도상 단독주택만 건축 가능한 땅이었다. 우리가 찾은 아이디어는 거실같이 큰 현관을 만들고, 세 개의 매스로 이루어진 각 집들을 연결하는 것이었다. 층별로 나뉜 다가구주택이 아닌 각각의 동으로 이루어진 집들은 거실만한 큰 현관으로 이어진다. 이 공간은 기능상 현관의 역할을 하는 공간이지만, 세 집이 공유하는 중의적인 거실 공간이기도 하다. 거실 같은 현관의 지붕은 세 집이 공유하는 외부 마당이 된다. 한 필지에 세 동의 매스를 넣으면서 우리가 가장 실험을 많이 한 것은 각 동의 일조였다...
Read more
2021. 11. 2.
화이트 큐브 Ⅱ
Type : Commercial Facilities Client : Hyunseo Park Location : Jangjondong, Asansi, Korea Size : 350.60 m2 Period : 2019 Status : Completed
Read more
2021. 11. 2.
화이트 큐브Ⅰ
Type : Commercial Facilities Client : Eunji Park Location : Jangjondong, Asansi, Korea Size : 439.03 m2 Period : 2019 Status : Completed
Read more
2021. 11. 2.
[송정동 협소주택] 테트리스 하우스
점점 과밀화되어가는 현대 도시에서의 주거형식은 최근 들어 다양하게 변화해 가고 있다. 그중의 하나가 협소주택이다. 협소주택의 가장 큰 특징은 사용자에게 필요한 건축프로그램이 수평적으로 구성되기 어려운 협소한 대지면적에 있다. 현재 수많은 협소주택은 프로그램을 수직적으로 적층 하거나, 스킵플로어 형식으로 양분하는 방식이 많이 행해지고 있다. 우리의 제안은 좁은 면적에서 더 작게 모듈을 나누고 그러한 모듈의 조합을 통해 더 다양한 프로그램 형태를 만드는 것이다. 수평과 수직으로 모듈을 조합하여 마치 테트리스 게임의 블록들처럼 다양한 공간의 형태와 구성을 만드는 것이다. 그리고 블록들 상호 간의 관계성과 형태에 따라 가장 효율적인 조립방법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비단 단독주택뿐만 아니라 공동주택에도 적용..
Read more
2021. 11. 2.
전동중학교 외부공간 리모델링 공사
학교 제반 시설이 노후화되어 교육여건이 열악한 전동중학교의 외부공간 리모델링 프로젝트. 학교의 요구사항에 따라 학생들을 위한 휴식 및 놀이공간과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생태공간을 조성하였다. 무엇보다 담장(울타리) 및 진입로, 그리고 교문 리모델링으로 학교의 이미지를 개선하고자 했다. Type : Public Design Location : Jeondong Middle School, Dongdaemun-gu, Seoul, Republic of Korea Period : 2020 Status : Completed
Read more
2021. 11. 2.
[월간건축사] 건축담론 기고글 게재
HB건축 정효빈 소장이 기고한 건축담론 '소규모건축사사무소를 운영하며'가 월간 건축사 vol.619(2020년 11월호)에 소개되었습니다. 04 소규모 건축사사무소를 운영하며 – 월간 건축사 kiramonthly.com
Read more
2021. 1. 27.
[건축사신문] 설계의 가치와 부동산의 가치
건축사신문 2020년 9월 2일자에 HB건축 정효빈 소장의 기고글이 실렸습니다. ^^ www.anc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10742 설계의 가치와 부동산의 가치 -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신문 2년 전에 준공을 한 프로젝트의 건축주로부터 연락을 받았다. 해외를 중심으로 여행업을 하시던 건축주는 최근의 코로나 사태로 생업이 힘들어지셨다. 회사를 휴업으로 전환하면서 비교적 저렴 www.ancnews.kr
Read more
2021. 1. 27.
[Archidaily] 모나무르 소개
HB건축에서 설계, 감리한 복합문화공간 '모나무르'가 세계적인 건축웹진 Archidaily 에 소개되었습니다. ^^ https://www.archdaily.com/944012/complex-cultural-space-mon-amour-hba-rchitects Complex Cultural Space ‘Mon Amour’ / HBA-rchitects Completed in 2019 in Asan-si, South Korea. Images by Yoon, Joonhwan. Complex Cultural Space “Mon Amour” The project begins with the dream of a country girl. The dream of a girl who wants to go back to h..
Read more
2021. 1. 27.
[2020 한국건축문화대상] 최우수상_모나무르 (신진건축사부문)
HB건축사사무소에서 설계 감리한 모나무르가 2020년 한국건축문화대상 신진건축사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신진건축사 화이팅!! 고생하신 모든 분들 감사드립니다^^
Read more
2021. 1. 27.
[전시] 서울도시건축전시관 Hidden Architects
서울도시건축전시관의 주최로 국내,외의 숨은 건축가들을 찾아 소개하는 'Hidden Architects'전시에 HB건축의 프로젝트가 전시되었습니다.
Read more
2021. 1. 27.
[세미나] 젊은 건축가의 설계시장
‘젊은 건축가의 설계 시장’이라는 주제로 열린 ‘크리에이티브 건축세미나’. HB건축의 정효빈 소장도 참석해 '집짓기'의 건축시장을 주제로, ‘한국의 집 짓기 시장’과 ‘젊은 건축가’에 대해 이야기 나눴습니다. 현시대의 주택시장을 바라보는 리얼한 시각과 그 속에서 방향을 찾아가는 두 건축가 (HB건축 / 소하건축)의 스토리를 전달하는 시간. 김광현 교수님께서 패널을 맡아 진행되었던 지난 행사풍경을 기사로서 간접적으로나마 전합니다. ↓↓ 기사 보러가기 ↓↓ 한국 건축시장에서 '집 짓기' - 브리크매거진 - BRIQUE MAGAZINE 원로 교수와 두 젊은 건축가가 말하는 건강한 집 짓기 brique.co
Read more
2021. 1. 27.
[전시] 2019 월간 건축사 작품전
2019년 월간 건축사에 게재된 작품을 소개하는 '월간 건축사 2019 작품전'에 HB건축사사무소에서 설계한 양주 단독주택 '우주(宇宙)'가 전시되었습니다.
Read more
2021. 1. 27.
[세미나] 2019 서울경향하우징페어(세텍)
2019년 가을 열린 서울경향하우징페어에서 '건축사가 들려주는 집 이야기'라는 타이틀 아래 '우주를 담은 집과 중재자로서의 집 이야기'라는 주제로 HB건축 정효빈 소장이 강연을 진행했습니다.
Read more
2021. 1. 27.
[세미나] 김광현교수 + 7인의 젊은 건축가 대담
지난 2019년 가을 '젊은 건축가들의 고민'이라는 주제로 열린 대담 형식의 토크쇼에 HB건축 정효빈 소장이 패널로 참여했습니다.
Read more
2021. 1. 27.
[세미나] 수수토 2019 집톡 세미나
2019년 가을 '각양각색 각기 다른 집 이야기'라는 주제로 수수토 세미나를 진행했습니다. 집톡의 주최로 열린 이번 세미나에서 집을 짓는 근원적인 이유에 대한 답을 찾는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Read more
2021. 1. 27.
[전시] 사고와 발현4_2029
2019년 여름 ‘집톡’ 건축가들이 대학로에서 ‘사고와 발현_2029’이라는 주제로 전시를 시작합니다. 미래의 주거문화에 대해 여러 건축가들의 생각을 볼 수 있었습니다. HB건축의 정효빈 대표소장이 참여합니다.
Read more
2021. 1. 27.
[세미나] 2019 코리아빌드
2019년 여름 열린 코리아빌드에서 '젊은 건축가의 참신한 집이야기' 라는 주제로 HB건축 정효빈 소장이 강연을 진행했습니다.
Read more
2021. 1. 27.
[세미나] 2019 제주경향하우징페어
2019년 봄에 열린 제주경향하우징페어에서 '귤밭에 지은 집'이라는 주제로 HB건축 정효빈 소장이 강연을 진행했습니다.
Read more
2021. 1. 27.
[세미나] 건축문화학교
2018년 12월 에이플래폼의 주최로 진행된 건축문화학교에서 '각양각색 5개의 집 이야기'라는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습니다.
Read more
2021. 1. 27.
[세미나] 2018 경향하우징페어
2018년 겨울에 열린 경향하우징페어에서 '각양각색'이라는 주제로 HB건축 정효빈 소장이 강연을 진행했습니다.
Read more
2021. 1. 27.